본문 바로가기

생활정보

연봉 3천~1억까지 실수령액 공개! 연봉별 세후 월급표 한눈에 보기

1. 실수령액이란? 왜 중요한가?

2. 연봉에서 빠지는 공제 항목은?

3. 2025년 연봉별 실수령액 표 (3천~1억)

4. 실수령액 계산기 정확할까?

5. 연봉 협상 시 꼭 체크할 실수령액 팁

6. 마무리: 연봉보다 중요한 세후 수령액

 

 

1. 실수령액이란? 왜 중요한가?

‘연봉’은 회사에서 약속한 1년간 급여도 중요하지만 실수령액을 확인하고 공제된 금액을 확인하면 연말정산의 금액도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습니다. 

연봉 실수령액

2. 연봉에서 빠지는 공제 항목은?

실수령액을 결정짓는 주요 공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국민연금: 소득의 4.5% (회사와 본인 각각 부담)
  • 건강보험: 약 3.5%
  • 장기요양보험: 건강보험료의 약 12%
  • 고용보험: 약 0.9%
  •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: 누진세 구조 (연봉이 높을수록 많아짐)

이 공제 항목은 매달 자동으로 차감되며, 연봉이 높을수록 공제 비율도 비약적으로 증가합니다.

3. 2025년 연봉별 실수령액 표 (2천~1.1억)

다음 표는 2025년 기준 연봉별 실수령액을 요약한 내용입니다. 세전 연봉과 실수령 월급, 총 공제액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연봉 월 실수령액 (예상) 연간 공제액 (예상)
2,000만원 약 127만원 약 479만원
2,500만원 약 158만원 약 610만원
3,000만원 약 187만원 약 752만원
3,500만원 약 215만원 약 917만원
4,000만원 약 243만원 약 1,038만원
4,500만원 약 270만원 약 1,260만원
5,000만원 약 296만원 약 1,447만원
5,500만원 약 323만원 약 1,631만원
6,000만원 약 349만원 약 1,817만원
6,500만원 약 375만원 약 2,000만원
7,000만원 약 399만원 약 2,193만원
7,500만원 약 423만원 약 2,387만원
8,000만원 약 443만원 약 2,687만원
8,500만원 약 466만원 약 2,908만원
9,000만원 약 489만원 약 3,130만원
9,500만원 약 511만원 약 3,352만원
1억원 약 535만원 약 3,576만원
1억 500만원 약 558만원 약 3,800만원
1억 1000만원 약 581만원 약 4,024만원
1억 1500만원 약 604만원 약 4,248만원

*표는 평균치이며, 세금 감면, 부양가족 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4. 실수령액 계산기 정확할까?

실수령액 계산은 표를 참고해도 좋지만, 개인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연봉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

국민연금 납입 여부, 가족 수, 비과세 수당 등을 입력하고 더 확실한 연봉 계산을 바로 확인해보세요.

5. 연봉 협상 시 꼭 체크할 실수령액 팁

  • 제안받은 연봉의 세후 금액을 먼저 계산해보세요.
  • 연봉 외에도 성과급, 상여금, 복지포인트 등을 포함하는지 확인하세요.
  • 비과세 수당(식대, 차량유지비 등)이 많은 구조는 실수령액에 유리합니다.
  • 세전 연봉만 보고 결정을 내리는 실수를 피하세요.

6. 연봉보다 중요한 세후 수령액

연봉이 높아 보여도 실질적으로 받는 돈이 많지 않다면 기대만큼의 경제적 여유는 없을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실수령액을 정확히 이해하고, 공제 항목을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 특히 이직이나 연봉 협상 시에는 단순히 ‘연봉 얼마’가 아닌 ‘세후 얼마를 받을 수 있는가’를 기준으로 판단해 보세요.

당신의 진짜 월급,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!